임상 TMI
전임상(비임상)시험의 분류
현카카
2023. 11. 8. 18:08
전임상(비임상)시험은 크게 제제학적인 시험, 독성시험, 약리시험으로 구분된다고 합니다.
보다 자세히 나누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제제학적 시험 : 안정성, 흡수성, 용해도, 제제의 형태를 확인하는 시험
* 신약 개발 과정에서 제제학적 시험은 신약후보물질이 안전하고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포함한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특성 및 기능을 분석하는데 사용된다고 합니다. Feat chat GPT
2. 독성시험(Toxicity Test) : 물질의 독성을 밝힐 목적으로 하는 시험을 말하며, 혈중농도와 독성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밝혀냅니다.
* 급성독성 시험, 아급성독성 시험, 만성독성 시험, 생식독성 시험, 의존성 시험, 항원성 시험, 변이원성 시험, 발암성 시험, 국소 자극성 시험, 독성약동학 등의 시험이 있으며, 각 독성 시험별로 보고자 하는 data가 다릅니다. 다음 게시글에 위 독성 시험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약리시험(Pharmacology Test) : 주요 약리작용의 profile을 평가하는 과정을 말하며, 신약후보물질을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 수행합니다. 주로 약동학, 약력학 시험을 통해 평가합니다.
* 약동학적 시험(pharmacokinetics) : 시험을 통해 체내에 들어온 약물은 몸에 흡수되고, 분포된 후 대사, 배설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시간에 따라 혈액과 각 조직에서 발견되는 약물의 농도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 약력학적 시험(pharmacodynamics) : 신약후보물질의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효과를 시험을 통해관찰하는 것입니다. 약물이 체내에 어떻게 흡수되고, 어떤 과정을 거쳐 목표 수용체에 도달하는지, 수용체와 어떤 반응을 하여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해 대해 연구하는 것입니다.
오늘 전임상(비임상)시험의 분류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독성 시험에 대해 보다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약리시험은 임상시험 파트에서 다뤄보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