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축구 관련 직업 7가지

축구 TMI/축구 잡상식 TMI

by 현카카 2020. 3. 2. 18:10

본문

안녕하세요. 현카카입니다!!!!!

축구를 사랑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축구와 관련된 직업을 갖는 꿈을 꾸는데요.

히지만 어떤 직업들이 있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거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축구 관련 업계에서 종사하고 싶으신 분들 및 궁금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이번 포스팅을 준비해봤는데요.

어떤 직업들이 있는지 한 번 알아보죠~


축구 관련 직업 1. 축구 선수

축구를 실제로 플레이하는 축구 선수입니다.

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으며 많은 축구 팬들이 한 때 축구 선수가 되는 걸 꿈꾸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저도 한 때 좋아하는 선수처럼 플레이하는 축구 선수가 되는 상상을 했었죠 ㅎㅎ(몸이 안따라서 문제지만..) 보통 어린 시절부터 유소년 팀 or 축구부에서 뛰며 성장해 프로 리그로 진출하게 됩니다. 하지만 초등학교 축구부에서 프로 축구리그 선수로 데뷔하는 확률이 0.8% 밖에 되지 않는다하니 정말 어렵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새삼 손흥민, 박지성 선수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축구 선수들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 토트넘의 감독을 맡고 있는 무리뉴

축구 관련 직업 2. 감독 및 코치

축구선수를 지도하고 감독하며 경기 전체의 큰 틀을 보고 전술을 만드는 감독 및 코치입니다.

감독은 선수들의 장단점을 분석해 알맞게 지휘하여 승리할 수 있도록 전술을 짜고 선수단 전반을 책임지는 총 책임자입니다. 보통 감독이 본인과 잘 맞는 코치진들과 함께 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A란 감독이 대한민국 대표팀에 부임한다면 본인과 함께 하던 코치진들을 이끌고 함께 오는 경우가 많죠. 코치는 팀마다 다르지만 수석 코치, 전술 코치, 피지컬 코치, 분석 코치 등 여러 직무들이 있으며 각 파트에서 본인들의 역량을 발휘한다고 합니다. 

축구 감독이 되려면 지도자 라이센스를 취득해야한다고 합니다. 보통 은퇴를 앞둔 선수들이 지도자 라이센스 취득을 준비하며 감독이 될 준비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나서 차근 차근 코치직 부터 밟아간 뒤 감독직으로 데뷔한다고 하네요.  세계적인 명장 과르디올라, 지단 등의 감독들이 모두 유명 축구 선수출신 부터 시작해 유소년 코치 등을 역임하 던 후 감독으로 부임하였었죠. 하지만 선수 시절 경력이 거의 없거나 한 토트넘의 무리뉴 감독, RB라히프치히의 감독 나겔스만 등의 감독들도 있으니 좌절하지 마세요 ! 

축구 관련 직업 3. 스카우터

구단 및 감독과 협의하여 구단에 필요한 선수들을 관찰하고 스카웃하는 직업

여러 지역 혹은 여러 나라를 돌며 구단에서 필요로 할만한 선수들을 관찰하고 발굴해내는 구단의 미래를 보는 직업입니다. 보통 감독 및 코치 처럼 선수 출신들이 하는 경우가 많으며 좋은 눈썰미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구단이 필요로 하는 선수는 감독 및 프런트와 상의하여 어떠한 조건에 부합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관찰하고 정보를 취합해 스카우팅 리포트를 작성한 뒤 보고합니다. 유명한 스카우터에는 핫한 프랑스 선수 음바페, 콜럼비아의 하메스 등을 발굴해낸 루이스 캄포스가 있습니다. 정말 대단하지 않나요? 좋은 스카우터를 갖는 것도 구단 입장에서 꼭 필요할거라 생각 되네요 ㅎㅎ

 

미노 라이올라

축구 관련 직업 4. 에이전트

축구 에이전트는 본인이 고객(선수)이 이적할 시 발생하는 업무를 진행하고 선수의 연봉 계약 및 보너스 등을 대행하며 그 외 여러 업무를 관리해주는 일을 합니다.

에이전트가 되기위해서는 원래 피파에서 주관하는 에이전트 자격 시험이 있었으나 현재 폐지되었고 지금은 대리인 제도라고 해서 누구나 등록만 하면 축구 선수의 대리인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명한 에이전트로는 호날두의 에이전트 멘데스 및 포그바, 이브라히모비치 등을 고객으로 두고 있는 미노 라이올라(맨유 팬이라면 정말 싫어 한다는..) 등이 있습니다.

축구 관련 직업 5. 심판

경기의 시작과 종료를 알리고 경기 규칙 숙지하고 이를 토대로 공정하고 원활한 진행을 이끌어내는 직업 심판입니다.

심판이 되기 위해서는 축구 협회나 연맹에서 인정하는 교육 과정 수료 및 자격증을 취득해야합니다. 취득한 뒤 일정 기간동안 아마추어 경기 심판을 보면서 경기 감독의 평가를 받은 뒤 협회에서 추천하면 그 때 부터 프로리그 경기 심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경기장에서 선수들과 함께 뛰며 결정을 내리는 주심 및 사이드에서 오프사이드 드로윙 상황 등을 체크하는 부심(선심이라고도 합니다), 최근 VAR 도입과 함께 애매한 판정에 대해 판독 후 주심에게 알리는 비디오 보조심판도 있습니다!

VAR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 참고해주세요 ㅎㅎ

2020/02/27 - [축구 TMI/축구 잡상식 TMI] - VAR이란?

모레노 심판

유명 심판으로는 2002 한일 월드컵 대한민국VS이탈리아 경기에서 토티 선수에게 레드 카드를 꺼냈던 모레노 심판이 기억나네요 ㅎㅎ

축구 관련 직업 6. 캐스터 및 해설위원

축구를 보는 시청자들의 경기 이해를 돕고 즐길 수 있도록 경기에 대한 관전포인트를 집어주고 시청자가 궁금해 할만한 상황들에 대한 해설을 해주는 캐스터 및 해설위원입니다.

보통 캐스터와 해설위원이 뭐가 다른지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캐스터는 주로 방송국의 아나운서가 맡으며 경기 전체를 정리하며 상황 중계에 중점을 둡니다. 해설 위원은 축구 선수 출신 분들이 많이 맡으시는데요. 선수들만이 알수 있는 경기 중 선수들 심리 상태 및 전문적인 지식 등을 알려드립니다.

김성주 캐스터와 안정환 해설위원

유명 캐스터와 해설 위원으로는 예능에서도 활약 중이신 김성주 아나운서와 안정환 해설위원이 생각나네요 ㅎㅎㅎㅎ

축구 관련 직업 7. 축구 기자

축구 경기를 직접 보고 사실에 의거해 본인의 생각을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축구 기자입니다.

전문적인 축구 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축구 전문 잡지사 및 신문사에 입사해 축구 기자가 되는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스포츠 신문사에 입사해 축구 외에 타 스포츠도 다루는 기자가 될 수도 있다고 하네요.

기자라는 직업 특성상 독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축구 관련 7가지 직업을 알아보았는데요. 그 외에도 다양한 직업들이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본인이 아시는 직업들이 있다면 댓글 부탁 드립니다!!

이번 포스팅 여기서 마무리하고 다음에 더 알찬 내용 준비하겠습니다.

관련글 더보기